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Hangk lab

고전문학사 작자에 따른 고려속요 `이상곡` 의 해석 본문

레포트

고전문학사 작자에 따른 고려속요 `이상곡` 의 해석

Hangk 2014. 1. 29. 14:36

[고전문학사] 작자에 따른 고려속요 `이상곡` 의 해석.hwp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상곡(履霜曲)>의 풀이와 어석 연구
1. 현대어 풀이
2. 어석 연구

Ⅲ. <이상곡(履霜曲)>의 작자에 따라 변화되는 해석
1. 기녀나 여인, 또는 미상의 작자
(1) 남녀중창의 사랑
(2) 변절에 대한 반성과 사랑

2.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채홍철(蔡洪哲)
(1) 채홍철의 변함없는 충절
(2) 채홍철의 변절과 반성

3. 유식층이나 불교계 인물

Ⅳ. 결론


본문
Ⅰ. 들어가며

이상곡은 쌍화점, 만전춘별사와 더불어 고려시대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조선시대에 배척되었던 대표적인 고려가요이다. ‘악장가사’에 가사가 ‘대악후보’에 음악이 전하고 있으며, 조선 성종 때에 이르러 가사가 음란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곡조만 남았다가 그 시기에 완성된 <악학궤범>에서는 ‘이상(履霜)’이라는 노래의 제목마저 삭제되었다.
현재도 이러한 평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상곡은“남녀상열지사”(김석하), “어딘지 육체의 내음이 풍기는 사랑”(장덕순), “음란한 님과의 사랑을 노래한 음사의 노래”(김기동, 정병욱, 이인복, 지헌영, 김사엽) 등과 같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물론 한편으로 이러한 시각이 인정될 수도 있겠지만 당시 상황적 맥락이나 작가적 맥락 더불어 고도의 함축적 의미 및 문학적 표현을 고려해 본다면 보다 다양한 의미가 숨겨져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에는 <이상곡>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새로운 시각이 늘고 있으며 2조는 이러한 다양한 시각에 초점을 맞추었다. 알다시피 이상곡의 작자는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으며, 따라서 작자에 대한 여러 가지 이설이 존재한다. 또한 작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작품의 해석이 달라지 게 마련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작자를 가정하였을 때 이상곡의 해석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겠다. 그럼 지금부터 간단한 이상곡의 풀이와 작자에 따라 변화하는 작품의 의미를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2조의 결론을 도출해 보도록 하자.


Ⅱ. <이상곡(履霜曲)>의 풀이와 어석연구

본문내용
는 미상의 작자
(1) 남녀중창의 사랑
(2) 변절에 대한 반성과 사랑
2. 고려 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채홍철(蔡洪哲)
(1) 채홍철의 변함없는 충절
(2) 채홍철의 변절과 반성
3. 유식층이나 불교계 인물
Ⅳ. 결론
Ⅰ. 들어가며
이상곡은 쌍화점, 만전춘별사와 더불어 고려시대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조선시대에 배척되었던 대표적인 고려가요이다. ‘악장가사’에 가사가 ‘대악후보’에 음악이 전하고 있으며, 조선 성종 때에 이르러 가사가 음란한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 하여 곡조만 남았다가 그 시기에 완성된 <악학궤범>에서는 ‘이상(履霜)’이라는 노래의 제목마저 삭제되었다.
현재도 이러한 평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이상곡은 “남녀상열지사”(김석하), “어딘지 육체의 내음이 풍기는 사랑”(장덕순), “음란한 님과의 사랑을 노래한 음사의 노래”(김기동, 정병욱, 이인복, 지헌영, 김사엽) 등과 같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물론 한편으로 이러한 시각이 인정될

참고문헌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 ‘이상곡’
일교시 닷컴 http://www.1gyosi.com/
<고려가요의 음악적 연구> 양태순, 이회문화사, 1997
<고려가요의 연구> 이명구, 신아사, 1984
<고려속요의 전승연구> 최미정, 계명대학교 출판부, 1999
<고려가요 연구> 최용수, 계명문화사, 1993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박병채, 국학자료원, 1994
<이상곡 고찰> 박한진, 한양대학교, 1999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정병욱선생10주기추모논문집, 집문당 1995